블로그 이미지
Flying Mr.Cheon youGom

Recent Comment»

Recent Post»

Recent Trackback»

« 2025/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너의 내면을 검색하라

차드 멍 탄 저 |권오열 역 |알키 



이 책을 본지 한달이 넘은것 같은데, 이제서야 정리를 하는구나 ^^;

이 책의 저자는 구글 엔지니어다. 본인이 명상을 배우고 나서 느낀 것을 주변 사람에게 널리 알리고 싶은 마음에 책을 쓴 것이다.


이 책의 내용을 한 단어로 줄인다면 '마음챙김'이다. '마음챙김'이 명상의 시작이다.

이 책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줄인다면 '나를 다스린다'로 말할 수 있다.


책의 표지에는 감정 조절 프로그램이라 홍보하고 있다.

다 보고 나서 느낀 것은 그 홍보 내용이 정말( 사실 )이라는 걸 알 수 있었다.


처음에 이 책이 명상에 관한 책인 줄 몰랐다.

단지 홍보문구에 홀린듯 감정을 다스리고자 이 책을 폈다.

( 아버지가 추천 해 준 책이라서 사실 더 끌렸다.. ^^; )

큰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큰 시작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마음 챙기는 법, 정신을 집중하는 법, 감정을 느슨하게 하는 법.

생각보다 어려운 것이 아니였다. 

평소에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던 호흡이 이렇게 큰 역할 하는지 이번에 깨달았다.

내 옆에 가까이 있지만, '인지 하지 못하는 것이 또 있을까' 하는 생각을 또 다시 일깨워준 좋은 내용이었다.


애써서 마음을 가다듬으려, 집중하려 하지 않고, 가벼운 마음으로, 2분동안 숨쉬는( 들숨/날숨 )에 집중한다.

불필요한 잡념은 사라지고, 머리가 맑아 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책 을 보고나서

여러 트레이닝 해 본 후, 나한테 적절한 방식으로 ( 혼합하여 ) 바꿔보았다.


이 호흡을 활용하여 마음도 몸도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먼저 마음챙김( 2분간 숨쉬기 집중 )을 한 후, ( 마음챙김 )

몸의 곳곳의 긴장된 부분을 순환하면서 호흡을 한다. ( 휴식 )

불필요한/필요한 여러 생각들이 지나가도록 내버려 둔다. ( 상황인식 )

좋은/나쁜 사건들에 대해 당시 내가 느꼈던 감정을 꺼내어 느껴본다. ( 감정인식 )

들숨일 때, 안좋은 기운을 받아 들이고, 날숨에 좋은 기운으로 내보낸다. ( 정화 )

스스로 상처 받았던 곳에 집중하여 천천히 호흡한다. ( 치유 )

다시 현실로 돌아오기 위해 마음챙김을 한다. ( 마무리 )


위 방식대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때에 따라서 잘 복합하여 사용하면 좋은 것 같다.


내가 주로 사용하는 마음챙김과 명상은

- 머리가 지끈할 때,

- 몸의 근육/뼈 부분의 이완이 필요할 때,

- 주변 상황을 인식할 때,

- 기분이 상할 때,

- 공격이 들어올 때,

- 걸을 때나 주변 경치 감상할 때,

- 책보다 졸릴 때,

- 영어단어 외울 때,


대략 이럴 때 사용한 듯 하다.


호흡과 같이 아주 가까이 있지만,

내가 인지하지 못하는 게 있을까 천천히 주변을 둘러 봐야겠다.


보물은 생각보다 멀리 있지 않다. 연금술사에서 이미 느꼈듯이.














:


기사 출처 :  http://www.bloter.net/wp-content/bloter_html/2012/01/94078.html 

.


1. 우선 검색엔진이 웹페이지를 발견하기 쉽게 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매트 커츠는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해 검색엔진이 웹페이지를 수집하도록 하라고 조언했다. 방법은 이렇다. 웹 게시자는 robots.txt(로봇.txt) 파일을 만들어 웹서버의 루트 디렉토리에 배치한다. 로봇.txt는 인터넷 검색엔진 배제표준으로, 사이트의 어느 부분을 구글 색인에서 제외해야 하는지 혹은 수집해야 하는지를 알린다.

이 작업이 단순해 보이지만, 이게 없다면 검색 엔진이 해당 웹페이지를 수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매트 커츠는 설명했다. 일단은 검색엔진이 접근하게는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구글코리아는 국내 웹사이트는 대체로 이 작업을 하지 않아, 검색엔진이 웹페이지를 수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을 덧붙였다.

정부 관련 웹사이트 중에는 국세청, 대법원,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재청, 외교통상부, 정부민원서비스, 고용노동부 워크넷, 보건복지부, 우정사업본부, 국립국어원, 국사편찬위원회 등이 검색엔진의 접근을 막아둔 곳이다.

2. 표준 HTML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물론 표준 HTML은 검색엔진 최적화뿐 아니라, 다양한 기기와 웹브라우저에 웹사이트를 보여주는 데에도 유용하다.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이트를 운영한다면 표준 HTML을 적용해 웹사이트를 운영하라는 이야기다. 액티브X나 AJAX, 플래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면 가장자리 링크는 HTML로 만드는 게 좋다고 매트 커츠는 강조했다.

3. 웹페이지에 제목을 입력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매트 커츠는 짧게 보이는 검색 결과는 웹페이지 제목과 메타디스크립션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런데 국내 웹사이트는 웹페이지 제목이 없거나 웹페이지마다 제목이 같다고 매트 커츠는 꼬집었다. 웹페이지에 제목을 입력하고 메타디스크립션을 만드는 것은 상점이 쇼윈도에 물건을 멋지게 전시하는 것에 비교할 수 있다. 웹페이지 제목이 매력적이고 유혹적이라면 클릭을 부른다는 게 매트 커츠의 설명이다.

구글이 운영하는 웹마스터 페이지를 방문하면 “검색결과의 첫 번째 행은 웹페이지의 제목”이라는 말이 있다. 웹페이지의 쇼윈도인 검색 결과에 웹페이지 정보를 잘 포장해서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4. 글을 잘 활용해야 한다. 이 말은 3번과도 이어지는 설명이다. 검색엔진은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웹페이지 제목, 메타디스크립션, 웹페이지 내 글로 파악한다. 특히 웹페이지를 이미지로 꾸밀 때에도 설명글(알트텍스트)은 필수다. 해당 이미지가 무엇에 대한 것인지는 글로 써야 검색엔진이 파악하기 좋다. 이미지와 동영상 파일을 검색엔진이 이해하는 게 아니라, 거기에 쓰인 설명을 바탕으로 검색 결과에 노출할 지를 정한다.

메타디스크립션이나 웹페이지 제목, 이미지 설명 등을 입력할 때는 사람들이 검색할 때 자주 쓰는 단어를 유념해야 한다고 매트 커츠는 강조했다. “미국에서는 USB 메모리를 메모리스토리지, 플래시드라이브, 섬드라이브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는데 USB를 파는 쇼핑몰이 이 중에서 하나의 이름만 설명에 넣진 않을 것”이라는 설명은 웹페이지의 설명글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특히 페이지 내 정보가 글로도 잘 설명된 웹사이트는 시각장애인이 웹사이트를 둘러보기에도 좋다.

5. 매트 커츠는 웹상에 링크가 많이 돌아다니는 게 좋다고 말했다. 블로그를 쓰거나 소셜미디어에 웹페이지를 소개하는 것도 방법이다. 물론 링크를 여러 웹페이지에 심으려는 노력이 과도해 스팸이 되면 안 된다고 매트 커츠는 설명했다.

6. 마지막으로, 매트 커츠는 웹표준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만 지원하는 웹사이트가 있다고 치자. 매트 커츠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점유율은 80%로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만 지원한다면 전체 방문자의 20%는 배제하는 셈”이라며 “웹사이트는 웹브라우저에 상관 없이 구동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