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Flying Mr.Cheon youGom

Recent Comment»

Recent Post»

Recent Trackback»

« 2025/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배산임수.전저후고.전착후관

투자 활동/부동산 | 2012. 2. 16. 14:40 | Posted by youGom



    

 

          ⊙ 取成이가 찿아본 생활속의 풍수상식

 

          ○ 배산임수(背山臨水)

 

 

 

배산임수(背山臨水)산을 뒤로하고 물을 앞에 둔다 는 것이이다

산의 신선하고 양명한 기운을 양껏 받기위한 하나의 전형적 형태를 말함이다

집앞의 물은 이 기운을 쉽사리 빠져 나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활을 한다

양택을 둘러싼 좋은 기운이 안온하게 보존 된다는 것이다

양택은 적절한 온도 습도 바람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양택이 배산임수의

입지에 있을경우 낮에는 물쪽에서 산쪽으로 평온한 바람이 분다 반면에 밤에는 산의 골바람이 물가로 내려오면서 분다

 

사람이 활동하는 낮에는 좋은 바람의 기운을 보다 적절하게 받아들이는 형태다 그래서 물을 향한 집앞쪽에 문이있거나 큰 창문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밤은 사람이 휴식을 취하는 시간이다 산쪽에서 내려오는 바람기운을 최대한 막을수록 좋다 그래야 우선 조용한 분위기속에서 편안하게 잠을 잘수 있다

당연히 산이 있는 뒤쪽이 담장으로 둘러처 진다 집뒤쪽 창문도 자연스레 

집앞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거나 때론 아예 없으질수밖에 없는 것이다 

한옥이든 초가집이든 대부분 우리 전통가옥은 산이있는 뒷쪽에는 바람이 통할수있는 창문이 없거나 설사 있더라도 아주 작게 나있다 

 

 

          ○ 전저후고(前低後高)

 

전저후고는 앞부분은 낮고 뒷쪽은 높아야 한다는것이다 대체로 마당은 낮고 집이있는 부분은 높은 모양이다 사람들이 편하게 앉을수 있는 의자를 연상하면 된다 등받이가 있어 뒤에서 받처져야 앉는쪽이 편하다 이때비로소 양택자체가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가질수 있다는 이야기다 

 

          ○전착후관(前窄後寬)

 

전착후관은 출입구가 좁고 안은 넓으야 한다는것이다 음택의 수구와 비슷한원리다 어떤명당 혈이 있다면 수구가 좁아지고 잘교쇄 될수록 좋은 기운이 

오래 머무른다고 한다 집전체도 마찬가지다 현대적 의미로는 출입구가 적절한 크기로 만들어져 있는것이다 문을 통과하면 적당하게 넓은 마당 등 안의 모양또는 확 눈에 들어오는 듯한 형태다 이게 바로 명당의 일종이다 명당이 넓고 클수록 사람들이 후덕해 지고 인심이 좋아진다고 한다 

양택은 명당과 가상을 위주로 한다 이에따라 좋은땅은 길지에 좋은 집형상인 길상이 갖춰지지 아니하면 바로 화를 당한다고 본다 (길.흉.화.복) 

 

 

 

          ○ 양택 길흉방

 

동서 사택의 길흉 방향에 따라 양택구도가 달라진다 길방에는 대문.방.거실.등으로 사람이 주로 출입하며 활동하거나 주거하는 공간을 설치한다 흉방은 길방의 기운을 최대한 살리 도록 한후 남겨지는 자투리 공간에 불과하다 그래서 창고.서고.화장실 등으로 쓰인다 집운세에 가장큰 영향을 미치는 대문은 어디에 만드는가 동사택은 생기방향에 서사택은 연령 방향에 두는게 일반적 이다 단 동사택 이라도 정북향 집은 북문이 가장 좋다

 

 

 

양택의 입지및 방위와 관련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풍수가들이 어떤 사람의 양택과 음택을 모두 조사해보면 음택이 좋으면 양택역시 좋은가상을 구비하고 있는수가 많다는 것이다 누가 풍수적으로 조언한적이 없어도 희한하게

양택이 비교적 잘 구분돼 집내부 구도가 잘배치돼 있다는 평가다 우연의 일치인지 결과적으로 길상의 집형태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음택이 나쁘면 양택역시 화가 닥치게 지여져 있다는 게 대체적 감평 결과다 

 

 

건좌손향 동남향(그림참조)의 경우다 대지중심 점에서 나경을 놓고 각방향의 길흉을 파악한다 집기운에 가장큰 영향을 미치는 대문은 진좌 장남목인대

흉방인 오귀방에 있다 그런데 대문과 바로 마주하는 반대편 방은 태좌

소녀금으로 생기방향에 있다 비록 좋은 방향에 방위라 해도 소녀금이 대문의 장남목 기운을 금극목(金克木)으로친다 그래서 장남은 이집에 이사온지 3년 또 는 8개월이면 8년등 만에 병들어 죽는다 목은 하락수로 3과8이기 때문에 곤방에 자손 간방에 복이있고 또 건방에 보필이 있어 집에 복도 자손도 관운도 있으나 대문방향이 잘못돼 장남이 화를 당한다

 

동남향집에 대문이 남향이라면 절명방위다 사람이 죽는 인패(人敗)가 발생한다 오행과 하락수로는 대문의 화기운이 화극금으로 노부금을쳐 노부를 죽게한다 그시기는 집에 입주한지 2년2년7개월7년 등이된다 동남쪽 집에 대문이 동남향 이라면 화해 방위가 되면서 재산을 잃는 재패를 당한다

 

 

마을을 둘러싼 산의 형태와 특별한 생김새도 그 지역인들의 인성과 품성을 알수있다 위압적이고 모나고 거친 형상을 가진산이 있다 흉석도 산재한다  그렇다면 그곳사람들은 주장이 강하고 기질도 모질고 행동도 더세다고 여기게 된다 반면 부드럽고 둥근산들은 어떤가 거기에 사는사람들은 일단 인심도 좋고 성격도 원만하고 부드럽다고 해석한다 이에따라 자연 환경이야 말로 그대로 풍수지리의 모태가 된다고 본다 한반도의 경우 이렇게 남다른 자연과 환경의 특질이 한국적 풍수지리를 태동시키게 한듯하다

 

 

        

출처 : 
http://blog.naver.com/vuddid5910?Redirect=Log&logNo=80044540860 
 

:
그냥, 경함담..(?) ㅋ

딱 봐도, 나중에 모두 고생길로 가는 지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냥 하는거다. ^^;

UI부분과 Network 리소스 관리에 대한 이야기다. 

UI에서 화면에 출력할 서버 데이터가 필요해 Data network 모듈에 Request를 호출한다.
너무 많이 호출( 100개 )하면 Request Queue가 Full나서 뻑난다.
그리하여, UI에서 Request 호출을 Pooling해서 Network 단에 하나씩 넘겨주라고 한다.
( 즉, 10개의 Request가 있으면, 1번 끝나면 2번 보내기 ... )

왜.. Network의 Sender( Request ) Pooling관리를 UI에서 하는지 모르겠다.
죽는 건 Network단인데, 고치는 건 UI다.

현재 1개의 UI에서 아랫단을 대신하여 만들고 있지만, 이거 하나로 모든 UI 페이지가 이 내용을 따라야 할 것이다.

약 30개 이상의 UI가 존재한다. Network에서 Pooling을 지원해주면 될 것을..
( 100줄에 끝날 내용을.. 200줄에서 최대 1만줄을 할애하는 것이다. )

이에 대한 건의는 하지 않는다. 윗분들은 제안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안을 좋아하는 경우는 단 하나, 그 사람이 내고 싶어했던 제안을 내야 좋아한다.

그냥.. 닥치고 하라는 대로 한다.

위 지시에 대한 응답은 "알겠습니다"였다. 
나는..? 우리는..! 프로그래머가 아니라, 직장인이다.

ps. MVC보다는 Model2 Architecture와 가장 유사하다.
( 설계도는 없다. 그냥.. 아키텍쳐로 따지자면 그렇다는 것.. ^^;; 이해를 돕기 위해 비유했다. ^^; )


  


 























닥치고 정치를 하던가, 닥치고 하라는대로 하던가. 골라야 할듯 ^^;;


:
바퀴살 서른 개가 바퀴통 하나에 모이는데,
그 가운데가 비어 있어야 수레로서 쓸모가 있다.
진흙을 이겨 그릇을 만드는데,
그 가운데가 비어 있어야 그릇으로서 쓸모가 있다.
문과 창을 뚫고 집을 세우는데, 그 가운데가 비어 있어야 집으로서 쓸모가 있다.
그러니 ‘있음’이 유익한 까닭은 ‘없음’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노자 도덕경(11장), ‘노자처럼 이끌고 공자처럼 행하라’에서 재인용

지식과 경험을 가득 채운 사람은 새로운 지식이나 사물에 대한 흥미가 적고,
자기 의견과 다른 것은 일단 배척하기 쉽습니다.
너무 가득 채운 것이 새로운 혁신과 창의성의 걸림돌이 되는 것입니다.
더 큰 창의성을 위해선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고,
가끔은 의식적으로 비우는 시간과 의식을 가져보는 것이 좋습니다.




 
:
남의 나라를 내 나라처럼 대하고,
남의 집을 내 집처럼 대하며,
남의 몸을 내 몸처럼 대하면
세상의 모든 혼란과 다툼, 전쟁이 사라진다.
-묵자

여당이 야당을 더 생각해주고, 정치인이 국민을 먼저 생각하고,
남편이 자신보다 아내를 생각하고,
회사가 고객을 먼저 생각하고, 사장이 회사 이익보다 직원을 먼저 생각한다면...
그 역(逆)도 역시 성립하지 않을까요?
나보다 상대를 먼저 생각해주는 사람들이 많아질 때
세상은 살기 좋은 곳으로 바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