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Flying Mr.Cheon youGom

Recent Comment»

Recent Post»

Recent Trackback»

« 2025/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ermux에서 ubuntu 환경 만들기

클라이언트/Android | 2022. 7. 1. 13:36 | Posted by youGom

여유분의 S10을 가지고 노트북 대용을 만들어보기로 한다.

미리 말하지만, 약간 시간이 걸린다.
모든게 자동은 아니기 때문에 자리를 지키고 있는게 좋다.
중간중간 입력해줘야 하는 내용들이 조금씩 있다.

ubuntu나 영어가 기본적으로 되는 사람은 아래 사이트의 원문을 바로 보는것도 도움이 될것 같다.
실제 해보니, 사이트에서 가이드된 내용과 크게 다른 거 없이 진행되었다.


Ubuntu 20 With XFCE4로 만들거라서 아래 명령어로 선택
사이트 : https://github.com/tuanpham-dev/termux-ubuntu

pkg install wget curl proot tar -y &&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tuanpham-dev/termux-ubuntu/master/ubuntu.sh && chmod +x ubuntu.sh && bash ubuntu.sh

 

실행 중에 에러가 발생함. wget이 설치가 안된다고 에러가 뜬다. pkg가 기본 명령어인데 안될리가 없는데..
확인해보니 아래 사이트 가이디대로 repository 변경하면 된다.
사이트 : https://github.com/termux/termux-packages/issues/6726

termux-change-repo

이 명령어를 치면, Repos 선택하는 화면이 두개 뜬다.
첫화면은 세개 다 선택해주고, 두번째 화면에서는 맘에드는 걸로 하나씩 선택해보면서, pkg update 실행하면서 네트워크 오류가 안나는 Repository를 선택해주면 된다.

PKG update 하는 중에 화면이 멈춰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Y/N 등을 할것인지 묻는 것 때문에 멈춰있다. (오류아님)
기존 버젼 유지할거라면 N, 유지보수버젼으로 설치할거라면 Y 누르면 된다. 
입력없이 엔터를 치면 기본값은 N이 되니 참고하면 좋다.

...

한참 설치하다 보면, 암호 입력이 나온다. 사용자명 사용자암호 그리고 루트권한 암호 등

암호 입력창 완료 후

설치가 완료된 것처럼 보이지만, 암호를 입력해달라는 화면이니 그냥 끄면 안된다. 암호를 입력 후 남은 설치가 계속된다.

...

갑자기 이상한(?) 영어로 뭔가 선택하라고 한다. 시간대를 선택해 달라고 하는 화면이다.
당황하지 않고, 우리는 한국 사람이니, 'Asia'를 선택하고 다음화면에서 'Seoul'을 선택하면 된다.

...

또 무언가 뜬다. 잘 살펴보면, Keyboard라는 글자가 보인다. 자판 언어 선택해 달라고 하는 내용이다.
당황하지 않고, 우리는 한국 사람이니, Korea를 선택하고, 내 키보드는 Full-Key이니까 ( 텐키리스 아니니까. ) 일반 Korea로 선택해준다.
[ 텐키리스 : 오른쪽에 3x3으로 넘버키가 없는 키보드를 흔히 텐키리스라고 함 ]

...

VNC Password 생성하기 위해 입력하라고 뜬다. 
이 부분만 입력하면 드디어 설치가 끝난다.

화면 프롬프트에 xxxx@localhost라는 문구가 뜬다면 모두 완료된 것으로 보면 된다.


우분투 설치 완료 후 기본 프로그램을 설치해주면 도움이 된다.

$ sudo apt install net-tools
$ sudo apt install nautilus

설치가 완료되면 사이트에서 가이드 해준 VNC를 시작한다.

./start-ubuntu20.sh

 

Ubuntu를 종료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exit

VNC를 시작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vncserver-start

VNC를 종료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

vncserver-stop

Oh My Zsh 설치해서 사용

cp ~/.profile ~/.zprofile
sudo apt install git curl zsh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한글로 설정해서 그런지 글자깨짐이 있을 때 아래 내용으로 처리

$ sudo apt install fonts-nanum fonts-nanum-extra fonts-nanum-coding ibus-hangul
$ ibus-setup 

input-method 한글 추가
$ ibus-daemon -drx
$ ibus-setup-hangul

pyCharm Community 버젼 사용하기 : https://www.jetbrains.com/help/pycharm/installation-guide.html#standalone

Install using tar archives

  1. Download the tarball
  2. Unpack the pycharm-*.tar.gz file to a different folder, if your current Download folder doesn't support file execution:The recommended installation location according to the filesystem hierarchy standard (FHS) is /opt. To install PyCharm into this directory, enter the following command:To verify integrity of the downloaded archive, use the SHA checksum linked from the Download page.
  3. sudo tar xzf pycharm-*.tar.gz -C /opt/
     
  4. tar xzf pycharm-*.tar.gz -C <new_archive_folder>
     
  5. Switch to the bin subdirectory:For example,
  6. cd /opt/pycharm-*/bin
     
  7. cd <new archive folder>/pycharm-*/bin
     
  8. Run pycharm.sh from the bin subdirectory.
  9. sh pycharm.sh

pycharm.sh 설치 시 JRE 오류가 발생하면 아래와 같이 JRE를 설치 후 다시 하면 정상 완료됨

sudo apt-get install openjdk-11-jdk

 

'클라이언트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UI Code Eaxple  (0) 2015.11.12
Practice Diary  (0) 2014.08.27
[GoogleMap] code Google API 정리  (0) 2013.10.11
[GoogleMap] 개발 관련 이미지 자료  (0) 2013.10.03
[Fragment] Fragment정보 갈무리  (0) 2013.09.13
:


* 출처 : http://www.dreamy.pe.kr/zbxe/CodeClip/163974

ADB PM 명령어 정리 ( pkg 파일 가져오기 )




출처: http://www.dreamy.pe.kr/zbxe/CodeClip/163972

* ADB AM 명령어 정리 ( Activity 실행하기 )


출처 : http://blog.shvetsov.com/2013/02/grab-android-screenshot-to-computer-via.html

* ADB Capture 정리



* 출처 : http://www.dreamy.pe.kr/zbxe/index.php?mid=CodeClip&category=113507&page=3&document_srl=165558

* mongkey 테스트 ( 무작위 테스트 )


'보안 > 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FL fuzzer / fuzzing  (0) 2019.06.27
hollywood 스크립트 설치 (헐리우드)  (0) 2019.01.25
공유 게시판 이더패드  (0) 2015.03.30
[NMAP] MS-SQL pentest  (0) 2014.11.17
[Security] Fillder Menual / UseCase  (0) 2014.02.27
:

[Android] UI Code Eaxple

클라이언트/Android | 2015. 11. 12. 13:56 | Posted by youGom

http://warmz.tistory.com/948



개인적으로 잘 사용했던 라이브러리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필수인 것은 빨강색으로 처리)


UnitTest

* Robolectric

- 공식 사이트 : http://robolectric.org/

- Github : https://github.com/robolectric/robolectric

- 특징 :

1. JDK 7에서 동작. (8 사용 불가)



Logging

* Logging with log4j in Android

- Google Code : https://code.google.com/p/android-logging-log4j/

- 참고글 :

http://warmz.tistory.com/941

http://warmz.tistory.com/942



Clean Codes

* Android Annotations

- 공식 사이트 : http://androidannotations.org/

- Github : https://github.com/excilys/androidannotations/wiki

- 특징 :

1. Annotation으로 UI Element 주입.

2. Compile 타임에 Injected Class를 생성하므로 성능 하락 없음.

3. 경량 라이브러리(53KB)

* AQuery(Android Query)

- Github : https://github.com/androidquery/androidquery


* Retrolambda

- Github : https://github.com/evant/gradle-retrolambda

- 특징 :

1. Java 8에서 지원하는 람다식을 Android에서 사용 가능하게끔 지원.(Kitkat은 공식적으로 Java 7까지 지원한다.)

2. Java 8로 컴파일 된 클래스를 Java 7 byte 코드로 변환 처리.

- 참고 사이트 :

1. http://zserge.com/blog/android-lambda.html



UI

* SuperToast

- Github : https://github.com/JohnPersano/SuperToasts

- 특징 :

1. 토스트를 스타일리쉬하게 꾸밀 수 있다.

2. Button / Progress / Card 형태로 커스터마이징 가능.


* SlidingMenu

- Github : https://github.com/jfeinstein10/SlidingMenu

- 특징 :

1. Navigation Drawer를 쉽게 구현 할 수 있으며 스타일 지정도 매우 간단하다.


* Android-Bootstrap

- Github : https://github.com/Bearded-Hen/Android-Bootstrap

- 특징 :

1. JS UI 라이브러리로 유명한 Bootstrap을 그대로 활용 할 수 있다.


* Circular Progress Button

- Github : https://github.com/dmytrodanylyk/circular-progress-button

- 특징 :

1. 아래와 같은 멋진 Progress Button을 사용 할 수 있다.




Util

* Commons Validator

- Apache : http://commons.apache.org/proper/commons-validator/

http://commons.apache.org/proper/commons-validator/javadocs/api-1.4.0/

- 특징 :

1. Email / Domain 등에 대한 validator를 제공한다.


* Gson

- Google Code : https://code.google.com/p/google-gson/

- 특징 :

1. JSON 유틸리티



* OrmLite(DB)

- 특징

1. ORM 관련 라이브러리 중에선 최고인 것 같다. 속도도 빠르고 쓰기도 쉽고 가볍다.


* Phrase(Android String Formatting)

- Github : https://github.com/square/phrase

- 특징

1. Android String Formatting을 매개변수 순서에 관계 없이 key&value 형태로 가능하게 해준다.

'클라이언트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mux에서 ubuntu 환경 만들기  (0) 2022.07.01
Practice Diary  (0) 2014.08.27
[GoogleMap] code Google API 정리  (0) 2013.10.11
[GoogleMap] 개발 관련 이미지 자료  (0) 2013.10.03
[Fragment] Fragment정보 갈무리  (0) 2013.09.13
:

안드로이드 폰 Exploit 하기 ( 페이로드 )



:

Practice Diary

클라이언트/Android | 2014. 8. 27. 23:13 | Posted by youGom


2014. 8. 15.

Android Studio Download And Install.


2014. 8. 16

Android Studio Hello world Compile and Run on Device.


2014. 8. 17.

Understanding UI.

 - Layout and XML format

 - Different Res and Asset

 - Component and Widget


2014. 8. 18

Understanding Fragment.

 - Different between Activity and Fragment

 - Usage Fragment

 - To insert 'textview' and 'button' widget on Fragment


2014. 8. 19

Understanding between Fragment and GridView

 - To insert 'GridView' widget on Fragment.

 - To pop 'Toast' Message on click the 'GridView' of the Fragment. 


2014. 8. 25.

Understanding HttpClient and HttpRequest/Response

 - Read book about the HTTP.

 - Read Development Site.

 - Type HttpRequest code and run Test.


2014. 8. 26.

Understanding Volley Lib and Run

 - Read Development Site.

 - Watch Volley Lecture - https://developers.google.com/events/io/sessions/325304728

   ::: TrainingTap of the http://Developer.Android.com

 - Understanding Http Request Queueing

 - Volley is Async and HttpRequestQueue


2014. 8. 27.

Understanding Test Environment

 - Read Development Site - TestCase

 - Watch InstrumentTest Lecture - http://www.youtube.com/watch?v=z47B1nhC3K0

    :: google search keyword and url :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android+studio+testcase

 - Type TestCase Code

 - Open Android Studio Terminal and run 'gradlew' script - ./gradlew connectInstrumentTest




'클라이언트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mux에서 ubuntu 환경 만들기  (0) 2022.07.01
[Android] UI Code Eaxple  (0) 2015.11.12
[GoogleMap] code Google API 정리  (0) 2013.10.11
[GoogleMap] 개발 관련 이미지 자료  (0) 2013.10.03
[Fragment] Fragment정보 갈무리  (0) 2013.09.13
:

[GoogleMap] code Google API 정리

클라이언트/Android | 2013. 10. 11. 01:19 | Posted by youGom

 

 

Maps Engine api 는 지도를 생성해준다. 레이어 기능이 있어서 자유자재로 지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https://developers.google.com/maps-engine/documentation/best-practices

 

admin SDK 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사용자들의 계정정보를 그룹별로 저장하고 관리 해 준다.

https://developers.google.com/admin-sdk/directory/v1/reference/

 

geocode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리턴해준다. 이 정보에는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https://developers.google.com/maps/documentation/geocoding/?hl=ko

 

Place api를 이용하면 해당 위치의 주변정보를 얻을 수 있다.

https://developers.google.com/places/documentation/search#PlaceSearchRequests

'클라이언트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mux에서 ubuntu 환경 만들기  (0) 2022.07.01
[Android] UI Code Eaxple  (0) 2015.11.12
Practice Diary  (0) 2014.08.27
[GoogleMap] 개발 관련 이미지 자료  (0) 2013.10.03
[Fragment] Fragment정보 갈무리  (0) 2013.09.13
:

안드로이드 포렌식

원제 Android forensics : investigation, analysis, and mobile security for google android.
페이지 480|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60774032|판형 B5, 188*257mm|책정보더보기 도서관 소장 정보 국립중앙도서관



@ ADB 사용 준비

 - VMware, VBOX로 USB 연결하기, 연결 시 쓰기방지 할것. ( 자동마운트 대신 수동 마운트로 할것 )

 - ADB 사용법 추가 확인 주소 : http://developer.android.com/guide/developing/tools/adb.html#commandsummary


@ 안드로이드 파일시스템과 데이터 구조

 :  물리 메모리와 파일시스템과 데이터 구조는 안드로이드 기기의 데이터 저장소를 위한 기본요소다. 그러한 요소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면 안드로이드 기기를 잘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롱누 파일시스템과 데이터 구조를 보게 되더라도 스스로  조사할수 있게 된다.

  - yaffs2.tar.gz 를 다운 받아서 설치한 뒤 디바이스에 마운트해서 해당 값을 확인할 수 있다.

  - Shared Preferences

    -- boolean, float, int, long, strings 에 대한 값이 저장된다.

    -- 경로 : /data/data/apk_pkg_name/shared_prefs

  - SQLite 정보 위치 ( /data/data/com.android.webkit )

    -- app_icons, app_cache, app_geolocation : 아이콘 DB 1개 , 웹 어플 데이터 캐시 1개, GPS 위치와 권한과 관련된 DB 2개

    -- app_databases 웹사이트 지원을 위한 로컬 데이터 베이스 저장소를 제공하는 21개의 데이터 베이스

    -- databases : 브라우저와 브라우저 캐시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 3개

  - db 보는 명령어

    -- sqlite3 db.db


@ 안드로이드 포렌식 기술

 :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포렌식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기술을 여러가지가 있다. 만약 분석 대상 기기가 패스코드로 보호돼 있다면 그것을 회피하거나 우회해서 데이터를 추출해야만 한다. 패스코드를 회피하기 위한 기술을 여러가지가 있지만 어느 상황에서나 항상 패스코드를 회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단 기기에 접근 가능하면 포렌식 분석가는 삭제되지 않은 데이터에 초점이 맞춰진 콘텐트 프로바이더를 통한 논리적인 데이터 획득이나 물리적인 데이터 획득 방법 중에서 어느 기술을 사요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물리적 데이터 획득 기술은 이용하면 더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더 복잡한 분석 기술을 필요로 한다.

 - APK 보안 검토 툴 : http://viaforensics.com/appwatchdog/

 - AFLogical : 콘텐트 프로바이더로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한다. viaForensics에서 무료 배포.

  -- 결과물은 CSV로 출력



 - 포렌식에 사용될 수 있는 상업용 제품

  -- Cellebrite UFED

  -- Compelson MOBILedit!

  -- EnCase Neutrino

  -- Micro Systemation XRY

  -- Paraben Device Seizure

  -- viaForensics의 viaExtract

  ( more. Oxygen Forensic Suite, Logicube's CellDEK )


 - 기기의 루트 권한 획득

  -- [ $ adb shell su ] 명령어로 루트 권한 획득이 가능한지 확인 ( 루팅 확인 )

  -- 복구 모드를 이용하여 루팅( 일시적/영구적 ) 하거나 취약점을 사용해서 루팅한다.

  -- 권한 획득 : 부트로더, RSD Lite, sbf_flash, fastboot, AFPhysical


@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과 포렌식 분석

 : 조사할 안드로이드 기기를 획득하는 것은 연구나 개발, 논의 에 있어서 매우 주요한 부분이지만 안드로이드 포렌식에서는 단지 시작일 뿐이다. 분석을 위해서는 논리적 물리적 기술이 모두 필요하다. 하지만, 물리적 데이터 획득 이후에 더 많은 양의 분석이 요구 된다. 이 부분에서 목적은 포렌식 분석가나 보안 엔지니어가 안드로이드 기기를 조사할 수 있는 기술, 심지어 포렌식 툴이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는 파일시스템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의 포렌식 툴과 리눅스 명령.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헥스 분석을 사용하면 조사가 필요한 데이터 대부분을 분석할 수 있다.

 - Hex : 포렌식 분석가의 좋은 친구

  -- $ sudo apt-get install ncurses-hexedit // 매우 빠른 터미널 기반의 헥스 에디터; 다른 것을 써도 된다.

 - strings 를 활용해서 정보의 갯수를 알 수 있다; 정보의 유/무

  -- $ strings --all --radix=x mmssms.db | grep 312123123 | wc -l // 해당 정보 312123123가 몇 개 존재하는 지 알수 있다.

 - FAT 포렌식 분석

  -- log2timeline을 이용한다. 그 전에 앞에서 활용했던 SD 카드 이미지 만들기, TSK의 mmls로 이미지를 조사하고, 이미지를 마운트해야 한다. ( 기타 추가 설명은 p 384에 있다. )

- YAFFS2( http://yaffs.net/yaffs-debugging ) : $ scalpel -c ~/scalpel-android.conf ~/xxx-datadata.dd -o ~/xxx-scalpel-test

- 법 집행기관이나 포렌식 분석가를 위한 리눅스를 아주 잘 설명한 웹사이트 ( Linux LEO : The Law Enforcement and Forensic Examiner's Introduction to Linux ) : http://www.linuxleo.com



# 책을 다 보고 나니, 이렇게 간단히 정리되었다. 정보 파일에 접근하기 위해 복구 및 권한을 가진 후 기기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복사한다. 그 다음에 해당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다.

# 여기서 들어가는 기술을 분리하자면 권한 획득, 복구 기술, 접근 기술, 추출 기술로 나뉘어지는 것 같다.














:

[Fragment] Fragment정보 갈무리

클라이언트/Android | 2013. 9. 13. 14:21 | Posted by youGom


Fragment 와 activity 차이점 알아보기 위해 검색하다가 찾은 정보.

* Fragment(프래그먼트) for Honeycomb



* 프래그먼트에 대해서



'클라이언트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mux에서 ubuntu 환경 만들기  (0) 2022.07.01
[Android] UI Code Eaxple  (0) 2015.11.12
Practice Diary  (0) 2014.08.27
[GoogleMap] code Google API 정리  (0) 2013.10.11
[GoogleMap] 개발 관련 이미지 자료  (0) 2013.10.03
:

테마 사이트 : http://www.android-themes.com/
 

'재밌는 흔적 > 즐겨찾기 - 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 패미 콤 ( SFC ) 게임  (0) 2011.05.19
쇼핑 관련 사이트  (0) 2011.04.29
여행 관련 사이트  (0) 2011.04.29
관공소 사이트  (0) 2011.04.19
부동산 관련 즐겨찾기 사이트  (0) 201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