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Flying Mr.Cheon youGom

Recent Comment»

Recent Post»

Recent Trackback»

« 2025/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IP공유기, DNSEVER, DDNS, NS(NAMESERVER), XE

보안/서버관리 | 2011. 12. 20. 22:59 | Posted by youGom

- IP 공유기에서 개인 서버 돌리기
- DNSERVER의 NS 서버 도움받기
- 개인서버에 네임서버 설정하기
- 네임서버 설정된 경로에 XE 적용하기

즉, 개인 서버를 돌리려고 한다. 집에 공유기가 있고, 서버 돌리려고 하니, 포트가 막힌다. 그 포트를 열었다.

그리고나서, 도메인 서비스를 원활하게 하고 싶었다. 
 domain.com이 있다. 여기에 www.domain.com 도 사용하고 싶고, blog.domain.com 도 사용하고 싶다. 앞으로 더 나아가서 news.domain.com도 추가하고 싶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DDNS를 이용했으며, DDNS가 설정된 상태에서 Bind9를 이용하여 네임서버를 구동시켰다.
DDNS는 Dynamic DNS로써 유동 IP를 도메인에 원활하게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그리고 Bind9는 네임서버 구축 툴이다. 
 www.domain.com을 최종 접근하기 위해서는 두번의 네임서버를 거쳐서 들어오게 된다. 첫번째는 DNSEVER에서 개인서버로 포워드하고, 개인서버에서 해당하는 ( 여기서는 www ) 경로로 안내해준다. 즉, www.domain.com URL 입력 -> dnserver -> mypc -> mysite ( www.domain.com )


* 공유기 위에 서버 설치 방법을 간략히 나열한다.
 - DHCP에 해당 서버 MAC 주소 등록, 사용할 외부 Port 등록 ( 포트 방화벽 해제됨 )
* DNSEVER에 추가할 SubDomain을 추가 등록한다. ( 당연히 기존 www는 살려준다. )
* Bind9 설치 한다. ( Apach2, php, MySql 등은 기본으로 설치 되어있다고 가정한다. )
 - /etc/bind/named.conf.local 에 domain.com의 ns 정보 파일 등록
 - /etc/bind/db.domain.com 에 domain.com의 ns정보 등록 또는 수정 ( SubDomain 등 세세한 설정 )
   # /etc/init.d/bind9 restart 로 재시작
 - /etc/apache2/sites-available/domain에 site 정보 등록 또는 수정
   # sudo a2ensite domain으로 sites-enabled 등록
   # /etc/init.d/apache2 restart 로 재시작
 - 기존 등록한 domain.com이 이미 존재한다면, subDomain만 더 등록해주면 된다. ( db.domain.com, sites-available/domain )

* XE 설치는 www.xpressengine.com에 잘 나와 있진 않았다. 나도 검색해서 설치했다 ^^; ( 비교적 설치하기 편하게 되어 있었다. 내 경우, 라이브러리와 퍼미션 설정만 잘 해주면 됐었다. )
:

우분투 Bind9 설치 / 네임서버 설정

보안/서버관리 | 2011. 12. 20. 20:12 | Posted by youGom

1. Bind9 설치

 

$ sudo apt-get install bind9

 

2. zone 파일 등록

$ sudo gedit /etc/bind/named.conf.local

//
// Do any local configuration here
//
zone "domain.com" {
        type master;
        file "/etc/bind/db.domain.com";
};   // <- 괄호 뒤 세미콜른 잊지 말것


3. zone 파일 작성

$ sudo cp /etc/bind/db.local /etc/bind/db.domain.com

 


$ sudo vi /etc/bind/db.domain.com

$ vi /etc/bind/db.domain.com

;
; BIND data file for local loopback interface
;

$TTL    604800
@       IN      SOA   ns.domain.com.    root.domain.com. (
                              2         ; Serial
                         604800         ; Refresh
                          86400         ; Retry
                        2419200         ; Expire
                         604800 )       ; Negative Cache TTL
;
@       IN      NS     ns.domain.com.
@       IN      A       111.222.333.444
www  IN      A       111.222.333.444
mail    IN      A       111.222.333.444
*        IN      A       111.222.333.444

 

4. bind9 재시작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 ( 재시작 전에 확인해 본다 )

$ named-checkzone example.com /etc/bind/db.example.com
zone example.com/IN: loaded serial 5
OK

$ sudo /etc/init.d/bind9 restart

 

5. VirtualHost 설정

 

$ sudo vi /etc/apache2/sites-available/domain-name

 

<VirtualHost *:80>

ServerAdmin admin@localhost

DocumentRoot /home/유저폴더

ServerName domain.com

ServerAlias www.domain.com

CustomLog /home/유저폴더/access.log combined

ErrorLog /home/유저폴더/error.log

<Directory /home/유저폴더/ >

Option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All

php_admin_value open_basedir /home/유저폴더/public_html/:/var/tmp/:/tmp/

</directory>

</VirtualHost>

 

$ sudo a2ensite domain-name

 

$ /etc/init.d/apache2 restart 

 

 

참고) 유저가 모든 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과정

  1. 우분투 로컬 계정 생성
    adduser 유저명, passwd 유저명 
  2. 유저 mysql 계정 생성
    1. mysql 접속 ( mysql -u root -p : 루트계정으로 접속 )
    2. 데이터베이스 생성 ( CREATE DATABASE 디비명; )
    3. mysql 계정 생성
    ( GRANT ALL PRIVILEGES ON 디비명.* TO 계정명@localhost IDENTIFIED BY ‘계정암호’ WITH GRANT OPTION; )
  3. 생성된 유저폴더에 가상호스트를 설정합니다.

'보안 > 서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공유기, DNSEVER, DDNS, NS(NAMESERVER), XE  (0) 2011.12.20
xshell  (0) 2011.12.20
ubuntu_server에서 할글 깨짐 현상 해결  (0) 2011.12.19
DB, MySQL 계정 생성  (0) 2011.12.19
우분투 원격 부팅 설정  (0) 201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