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P 공유기에서 개인 서버 돌리기
- DNSERVER의 NS 서버 도움받기
- 개인서버에 네임서버 설정하기
- 네임서버 설정된 경로에 XE 적용하기
즉, 개인 서버를 돌리려고 한다. 집에 공유기가 있고, 서버 돌리려고 하니, 포트가 막힌다. 그 포트를 열었다.
그리고나서, 도메인 서비스를 원활하게 하고 싶었다.
domain.com이 있다. 여기에
www.domain.com 도 사용하고 싶고, blog.domain.com 도 사용하고 싶다. 앞으로 더 나아가서 news.domain.com도 추가하고 싶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DDNS를 이용했으며, DDNS가 설정된 상태에서 Bind9를 이용하여 네임서버를 구동시켰다.
DDNS는 Dynamic DNS로써 유동 IP를 도메인에 원활하게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그리고 Bind9는 네임서버 구축 툴이다.
www.domain.com을 최종 접근하기 위해서는 두번의 네임서버를 거쳐서 들어오게 된다. 첫번째는 DNSEVER에서 개인서버로 포워드하고, 개인서버에서 해당하는 ( 여기서는 www ) 경로로 안내해준다. 즉,
www.domain.com URL 입력 -> dnserver -> mypc -> mysite (
www.domain.com )
* 공유기 위에 서버 설치 방법을 간략히 나열한다.
- DHCP에 해당 서버
MAC 주소 등록, 사용할 외부
Port 등록 ( 포트 방화벽 해제됨 )
*
DNSEVER에 추가할 SubDomain을 추가 등록한다. ( 당연히 기존 www는 살려준다. )
*
Bind9 설치 한다. ( Apach2, php, MySql 등은 기본으로 설치 되어있다고 가정한다. )
- /etc/bind/
named.conf.local 에 domain.com의 ns 정보 파일 등록
- /etc/bind/
db.domain.com 에 domain.com의 ns정보 등록 또는 수정 ( SubDomain 등 세세한 설정 )
# /etc/init.d/bind9 restart 로 재시작
- /etc/apache2/
sites-
available/
domain에 site 정보 등록 또는 수정
# sudo
a2ensite domain으로
sites-enabled 등록
# /etc/init.d/apache2 restart 로 재시작
- 기존 등록한 domain.com이 이미 존재한다면, subDomain만 더 등록해주면 된다
. ( db.domain.com, sites-available/domain )
* XE 설치는
www.xpressengine.com에 잘 나와 있진 않았다. 나도 검색해서 설치했다 ^^; ( 비교적 설치하기 편하게 되어 있었다. 내 경우, 라이브러리와 퍼미션 설정만 잘 해주면 됐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