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Flying Mr.Cheon youGom

Recent Comment»

Recent Post»

Recent Trackback»

« 2025/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윤채현 / 박준민 저, 한빛비즈 저



환율 관련에 관해 관심이 생겼다. 아직 흐릿한 그림만 그리는 상태라 가벼운 책으로 시작하려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필요한 정보를 요약한 내용이다.


* 외환은행 ( http://www.keb.co.kr )의 첫화면에서 환률 조회의 고시 환률 메뉴에서, 현재 환률, 평균 환율, 환율 변동, 환율 차트등을 볼수 있다.

 - 로이터 사이트에서 역외 환률을 조회할 수 있다. http://www.reuters.com/finance/currencies

* KRW 환율이 오르면, 수출기업은 이익을 보고 수입기업은 손해를 본다.

* 환률이 상승하는 것이 항상 강세가 아니다. 때에 따라 환률상승이 약세인 경우가 있다.

* 일반적으로 환률이 상승하면, 통화량이 줄어들어 주식과 부동산 시세가 하락된다.

* 환률이 하락하면, 보통 수입업체가 이익을 보지만, 급격하게 하락할 경우, 수입업체도 손해를 보게 된다.

* 일본의 엔화와 KRW는 환률 그래프가 서로 상반된다.




환율은 주식과 부동산에 영향을 미친다.


환율이 오른다는 것은 KRW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의미이다.

가치 하락의 이유는 외국 자본이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그러면, 국내 통화 유동성은 줄어든다. 그러므로 주가지수 하락은 물론 부동산 거품이 꺼지게 되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이런 경우, 두번 하락을 맡게 된다.


환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KRW의 가치가 상승한다는 의미이다.

위와 반대로, 가치 상승은 외국 자본이 들어온다는 것이다.

외부 돈이 들어오게 됨으로써 국내 통화 유동성은 증가한다. 경제가 활발해지므로, 주가 지수를 오르게 되며 부동산 가격도 상승하게 된다.




국가별 환차손, 환차익을 통해 투자를 할수 있다.

기축통화가 달러이고, A국가의 통화와 KRW 환율 차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국가별 환율 변동 예측한 후, KRW가 강세일때 달러로 교환하고 A국가 통화가 약세일 때, A국가 통화로 바꾼다.

A통화가 강세를 보일 때, 다시 달러로 교환후, KRW가 약세일 때, KRW로 환전하면 환차익을 얻을 수 있다.




환율 예측에 실패하면, 

상장기업의 환차손이 증가하면서 주가지수가 하락하고, 

이는 시장금리 및 대출금리 상승을 가져오고

나아가 부동산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

금융회사의 부실채권이 증가하여

추가적인 환율 상승은 물론,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가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
나는 나의 삶이 죽은 사람이든 살아있는 사람이든
다른 사람들의 노고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매일 하루에 백번씩 스스로에게 일깨운다.
또한 내가 받은 만큼, 그리고 지금도 받고 있는 만큼 주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고 매일 하루에 백번씩 스스로에게 일깨운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시크릿’ 저자 론다 번은 신작 ‘Power’에서 감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아무리 작은 것일지라도 당신이 가진 것에 대해 고마워할 때
당신은 그런 것을 더 많이 받을 것이다.
당신이 받은 것, 그리고 지금도 계속 받고 있는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주면 그것은 더 크게 늘어난다.
그와 동시에 감사하는 마음이 당신이 원하는 것을 가져다준다.” 

 
:
중요한 일을 미루는 것은 불행한 사람들의 공통점이다.
그들은 지금은 때가 아니라고 실천을 미룬다.
그러면서 새해가 되면, 생일날부터, 결혼기념일부터 시작하겠다고 다짐한다.
새로운 시작을 위한 완벽한 타이밍은 없다.
금연을 하기에 가장 좋은 날은 없다.
공부를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시간도 없다.
실천하기 가장 좋은 날은 ‘오늘’이고 실행하기 가장 좋은 시간은 ‘지금’이다.
-이민규, ‘실행이 답이다.’에서


변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나중에, 다른 데서’ 이며,
성공의 가장 확실한 디딤돌은 ‘지금 여기서 Now & here'입니다.
후회는 아무리 빨라도 늦고, 시작은 아무리 늦어도 빠른 것입니다.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은 “지금 있는 자리에서,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하라!”라고 웅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