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Flying Mr.Cheon youGom

Recent Comment»

Recent Post»

Recent Trackback»

« 2025/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크랙'에 해당되는 글 2

  1. 2013.06.12 [교육] 리버스 엔지니어링 교육 - Day 3
  2. 2013.03.27 BackTrack5 한글 패치하기
 

 

 

1. IDA plugin

ProgramFiles\IDA\plugin에 넣어두면 자동으로 등록된다. 동작하지 않는다면 IDA의 edit-plugins에서 항목을 클릭하여 실행하면 된다.

 

2. OllyDBG

시리얼 정보 취득을 위해 S/W 브레이크 포인트와 H/W 브레이크 포인트를 잘 활용하여 사용한다.

시리얼 정보를 비교하는 부분에 대해 S/W 브레이크포인트를 달아두고, 시리얼번호를 입력받은 후 레지스터 값을 알아보기 위해 레지스터 follow dump를 뜬 다음 해당 위치에 H/W 브레이크 포인트를 걸어둔다. 그리고 시리얼을 입력하면 레지스터에 등록된 값과 비교 대상의 값이 나타난다. 이 부분이 실제 필요한 시리얼 번호가 된다.

시리얼 번호를 Generate하는 부분을 찾기 위해서, 제너레이션의 기준이 되는 글자에 메모리 또는 하드웨어 액세스( Read ) 브레이크를 걸어두고 추적하면 된다.

OllyDBG는 www.ollydbg.de 에서 무료로 배포 받을수 있다.

 

3.

Trace over ( Ctrl + F12 ) 기능을 이용해서 op 실행 히스토리를 추적할 수 있다.

 

4.

실행파일내에 자식 프로세스를 OllyDBG 2.0 ( 빨간색 아이콘 )으로 디버깅한다.

 

5.

OllyDBG 의 Attach 기능을 활용한다. Attach기능은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디버깅하는 기능이다.

excute til user code ( alt + F9  ) 를 두번 해준다. Attach하면 마우스 포인트 DLL 위치를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다.

 

6.

외주에 암호화 작업을 맡겼다고 할지라도, 실제 보안성 검토를 해보면 XOR 암호화 정도만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소스코드에서 확인도 중요하지만, 실제 컴파일된 ASM단에서 암호화가 잘 되어 있는지 실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7.

DeRox( OllyDBG 1.0 )은 Thread와 Just in time에 대한 버그가 많았다. 추가 플러그인없이 수정한 코드를 저장할수 있다.

OllyDBG 2.0 ( 빨강 )은 Thread와 Just in time에 대해 버그를 수정했다. 수정한 내용을 저장하려면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한다.

 

 

 

:

BackTrack5 한글 패치하기

보안 | 2013. 3. 27. 21:04 | Posted by youGom


BackTrack을 우분투 기반이란거 만 빼면 좋아하는편인데 한글이 지원이 안된다

그래서 어떻게 할까 생각하다가 우분투 기반이라는걸 이용해서 한글을 설치 해보려 한다

12.8.26일 현재 스샷은 없다

현재 필자는 KDE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므로 KDE위주로 포스팅한다



# apt-get update

일단 패키지 업데이트


# apt-get install -y synaptic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 설치


[ 시작 ] - [ System ] - [ Synaptic Package Manager ] 실행


software-center 검색


찾은 software-center에다 Mark for Installation 해준다

그럼

Mark additional required changes? 라고 하는 창이뜬다

software-center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다 고로 Mark 클릭한다


그리고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 있는 초록색 체크 되어있고 Apply라고 되어있는 버튼을 누른다

그럼 창이 또 하나뜨는데 쿨 하게 Apply눌러준다

설치가 끝이 나면

Automatically close after the changes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를 체크하고

close 해준다


[ 시작 ] - [ System ] - [ Ubuntu Software Center ] 실행


language support를 검색한다(아마 이까지는 Gnome도 동일 할듯하다)


language support 와 language support-qt가 있는데

설명을 보면 qt는 KDE에 설치하는듯하고 걍 버전은 그놈에 설치하는듯하다

(그리고 [ Favorites ] - [ System setting ] - [ Locale ] 에 가보면

install language-selector-qt to be able to add more languages.

라고 되어있다)


[ Favorites ] - [ System settings ] - [ Locale ]

에 들어가서

우선 Country or region: 에서 change.. 를 누르고

Asia,East 에서  South Korea (Republic of Korea로 해줬음 더 좋았겠다) 를 선택 하고 OK를 누른다

그리고 맨 밑에 있는 install new language를 클릭한다

그리고 Korean 을 클릭 한다

그리고 다음 다음 다음 누르면 설치가 끝난다 ㅋㅋㅋ


그리고 select system language 를 눌러서 한국어를 눌러준다

이때 nabi 한글을 선택하면 세부 설정에서 한영 키로 한영 전환을 할 수 있다

딴건 해봤는데 shift + space 조합으로 밖에 안되더라;;

그리고 마지막으로 apply 를 눌러주면 끝~~~


완전 적용되려면 로그아웃후 다시 로그인해야된다


그리고 다시 로그인 하면 작업 표시줄에 나비 비슷하기도 한것이 있다

그걸 오른쪽 클릭하고 기본설정을 누른다

그런다음 한글탭에서 한영 전환키에 추가 버튼을 누른후 창이하나뜨면

본인의 키보드에 한영 버튼을 누른다

이로서 한영키로 한영전환을 할 수 있게 된다

근데 참 아쉽게도 이것도 로그아웃 했다가 다시들어와야 적용된다 ㅋㅋㅋ


포스팅 끝~




원문:
http://neoray.tistory.com/245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erse shell ssh  (0) 2023.05.14
[CURL] linux에서 활용하기  (0) 2014.11.28
[보안/교육] 아카데미 사이트  (0) 201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