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Flying Mr.Cheon youGom

Recent Comment»

Recent Post»

Recent Trackback»

« 2025/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오랜샵 변호사가 절대 알려주지 않는 31가지 진실 ...

한정우 저, 한국경제신문사 출판

이 책의 주요 내용은 서문과 차례에서 다 말해주는 것 같다.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 변호사는 당신을 변론해주고, 그에 대한 댓가를 받는 것이다. 의뢰인은 변론에 집중하고, 변호사는 그 댓가에 집중한다.'

한마디로 줄여보면, '변호사는 돈에 집중한다.' 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겠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변호사 보다 더 많이 알아야 할까?
그럴거면 차라리 본인이 변호사를 하는게 낫다고 본다.

우리가 변호사에게 원하는 것은 법률적 고문이고, 변호사가 원하는 것은 변론에 대한 댓가다.
이게 가장 기본이다.

만약 나라면, 변호사가 가장 원하는 돈에 대해 집중 분석할 것이다.
어느 부분에서 돈이 흘러서 넘어가는지, 그 포인트를 잡으면 되는 것이다.

'지피지기 백전불패'라 했다.
변호사는 우리의 심리상태부터 모든 상황을 이해하고 있고 제어 가능하다.
그러나 의뢰인( 우리 )은 변호사를 제어 할 수 없고, 항상 따라 갈수 밖에 없다. 이유는 간단하다. 의뢰인이 너무 모르기 때문이다.

돈이 언제 어떻게 변호사에게 지불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크게 착수금, 소송 청구 비용, 소송 중 비용, 성공 사례로 나눌 수 있다.

변호사들이 전체 금액을 말하지 않고, 착수금만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전체금액이 크기 때문에 전체 금액을 먼저 말하게 되면, 겁에 질려 의뢰를 취소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야금야금 의뢰인의 돈을 갈취하기 위함이다.


( 책을 다 읽지 못하고 반납했다 ㅠ 책 내용의 주는 변호사가 원하는 것은 돈이란 것이다. 이 포인트에 집중하여 저자는 계속 설명한다. 결국 이 책의 시작과 끝의 포인트는 '댓가 지불'이다. 이에 집중하여 분석한다면, 변호사에게 이리저리 휘둘리는 일은 없을 것이다. )




[ 차례 ] 네이버에서 펌

프롤로그 _ 변호사가 말하지 않는 불쾌한 진실

1. 변호사, 누구를 위해 일하나 
변호사도 법률서비스를 파는 상인이다
법조인 인맥 사실인가, 과장인가
전관예우는 법조계의 역사와 함께 흘러왔다 
결국엔 ‘제값’ 치르는 ‘무료’법률상담
내 변호사, 그 분야의 전문 맞나

2. 소송 효과, 미리 따져야 남는다
소송이 유일한 해결 방법은 아니다
변호사의 관심은 오로지 수임료
돈만 날리는 ‘승소’라면 안 하느니 못하다
변호사가 말하는 소송 기간, 그때그때 달라

3. 기준 없는 소송 비용, 변호사 배만 불린다
발 담그면 늘어나는 소송비용
소송 비용 부담, ‘원칙’은 패소자 그러나 현실은
변호사 소개나 연결의 진실
변호사 보수 약정에 숨은 의도 
변호사 배만 불리는 성공보수금
여전히 판치는 불공정 약정
사라지고 묻히는 소송예치금

4. 의뢰인의 권리는 사라지고 변호사의 실익만 남는 소송
원거리 소송의 복병, 소송복대리인
돈 된 소송의 재판은 차선, 돈 될 소송의 재판은 우선
소송이 늘어나면 변호사만 신난다
어려운 법률용어에 현혹되는 의뢰인
도대체 사건 파악을 어떻게 한 거야?
눈물을 머금어야 하는 조정
감정평가가 필요한 소송의 주의사항
변호사가 쏘아올린 부실변론 폭탄
바쁜 척하는 변호사의 속내
변호사 로비 정말 효과 있을까
법률서비스의 범위는 의뢰인이 넓힌다

5. 자신을 변호하는 변호사
패소해도 당당한 변호사
상소로 판결을 뒤집을 수 있을까
변호사는 유리하고, 의뢰인은 불리한 강제집행
들어갈 때와 나올 때 다른 소송비용

에필로그 _ 정의의 붓으로 인권이 쓰이는 ‘그날’을 위해

부록
자가진단에 따른 유형분석
변호사 윤리장전



:


질문 : 


3년째 공실중인 상가를 경매로 낙찰받았는데 관리실에서 그동안 부과된 공실관...

 

답변 :

질문자님은 공용과 전용을 거꾸로 알고 있습니다.

대법원판례에는 3년분, 공용부분에 대해서만 낙찰자가 지급하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참고삼아 아랫글을 읽어보면 낙찰 상가 미납관리비에 대해서 좀 더 쉽게 이해될 것입니다.

--------------

원칙대로라면 아파트나 상가의 관리주체가 경매절차에 참가해 연체된 관리비만큼의 채권신고를 하고 그 경매절차를 통해 배당을 받아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연체된 관리비는 해당 부동산 가격에 비하면 현저히 소액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권리신고가 이뤄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여 진다.

또한 아파트나 상가가 경매로 넘어갈 정도의 악성채권이면 연체관리비와 같은 후순위채권이 경매절차를 통해 전액 변제받을 가능성은 거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경매절차를 거쳤더라도 연체관리비 채권은 그대로 남아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관리비는 경매절차에서 열람가능한 물건의 감정서에도 누락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감정서는 해당 부동산의 객관적인 가치를 산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이지 권리관계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렇게 남게 되는 관리비는 원칙적으로 매도인인 전소유자가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 해당 부동산을 매수한 사람이나 경락받은 사람에게 관리주체가 전소유자인 매도인을 대신해서 납부할 것을 요구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아파트나 상가관리규약의 대부분은 전소유자가 미납한 관리비를 현소유자가 승계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어 문제이다.

아파트나 상가의 관리사무소는 이러한 관리규약을 근거로 신소유자에게 구소유자가 미납한 관리비까지 함께 납부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어떤 경우는 연체된 관리비와 새로 부과되는 관리비를 한 장의 고지서로 만들어 연체관리비까지 함께 납부하지 않으면 새로 부과되는 관리비도 납부할 수 없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시간을 끌어도 연체된 관리비가 해결되지 않으면 관리사무소는 단전·단수 등 실력행사를 하여 신소유자에게 고통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 대법원은 이러한 조치들은 모두 위법이라고 판결한 바 있다.

위 판결에 따르면 관리규약으로 신소유자에게 위와 같은 불이익을 주는 것은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위반된다.

같은 법 제28조 제3항에 따르면 관리규약은 아파트나 건물의 소유권자의 권리·의무에 관하여만 규정할 수 있을 뿐 다른 사람의 권리·의무에 대하여는 규정할 수 없다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위 판결에 의하더라도 관리비 중 공유부분의 관리에 소요되는 부분은 전체 공유자의 이익을 위한 부분이므로 승계된다고 한다. , 관리비 중 공유부분을 제외한 전유부분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신소유자에게 대신 납부하도록 하거나, 나아가 이를 납부하지 않는 것을 문제삼아 단전·단수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은 모두 위법한 것이다. 출처: 파이낸셜 뉴스

--------------

 

결론적으로 질문자님은 낙찰받은 상가의 미납관리비 중에서 공용부분만 정확하게 3년치만 관리실에 납부하면 됩니다.

자꾸만 쓸데없이 관리실에서 시비를 걸면 윗글을 인쇄해서 보여주십시오.

 

아무쪼록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원합니다.





출처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0202&docId=133011106&qb=7IOB6rCAIOqyveunpCDrgpnssLAg6rSA66as67mE&enc=utf8&sect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gyo6035Y7uRssu6V4Asssc--132749&sid=TyoK0w-@KU8AACKsCZQ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