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Flying Mr.Cheon youGom

Recent Comment»

Recent Post»

Recent Trackback»

« 2025/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책] 협상 천재가 된 홍대리

책/독서후정리 | 2012. 4. 12. 11:11 | Posted by youGom




김성형 저, 다산북스 출판.



설득은 내가 원하는 것을 상대방으로부터 얻어 내는 것이다.

협상은 내가 원하는 것을 상대방으로부터 얻어 내는 것이다.

무엇이 다를까?


설득은 이득 구조가 한방향이다. 상대방에서 나에게로.

협상은 이득 구조가 양방향이다. 상대방에서 나에게, 나에게서 상대방에게.


승리하는 자가 설득에 성공한 것이고, 협상은 서로 조율하며 맞춰 간다.

그래서 설득의 시간보다 협상의 시간이 오래 걸린다. 설득에 성공할지라도 불편한 마음이 남을 확률이 비교적 높지만, 협상의 성공은 서로가 원하는 바를 절충하여 가져 간 상황이므로 불편한 마음이 남을 확률이 적다.


협상의 시작은 상대방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물론, 내가 원하는 것이 먼저이겠지만, 이걸 먼저 내세우고 다가간다면 설득하고자 하는 마음이 크다.

이걸 주면, 상대방이 좋아하겠지..?! 이것은 나의 주관이다. 상대방의 주관을 헤아릴줄 알아야 한다.

상대방이 객관적 자료를 중요시 한다면, 근거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대방이 객관적인 것보다 인간적인 면이나 미래가치에 대해 중요시 한다면, 그에 맞춘 대응법이 필요하다.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이해하려는 노력의 흔적은 기원전 560년 경부터 찾을 수 있다.

철학자인 히포크라테스는 사람의 성격을 네가지로 규정했다.

 - 혈기 왕성한 다혈질

 - 성미가 급한 담즙질

 - 둔하고 느린 점액질

 - 우울하고 악몽을 꾸는 흑담즙질

심리학자인 칼 융은 사람마다 감정, 사고, 감각, 직관 가운데 하나의 특성을 강하게 보여주는데 이는 대부분 천성적이라고 했다.

 또 미국 심리학자 데이비드 커시는 아폴로적 기질, 프로메테우스적 기질, 에피메테우스적 기질, 디오니소스적 기질으로 분류 했다.


이 책의 저자가 현대사회에 맞춘 분류; 현미경형, 청진기형, 돋보기형, 망원경형

 - 현미경형 : 상당히 논리적이고 객관적 근거를 중시하는 사람들

 - 청진기형 : 인간적 관계와 감정적 교류를 중시하는 사람들

 - 돋보기형 : 계획적이며 지나칠 정도로 꼼꼼한 사람들

 - 망원경형 : 멀리 내다보고 큰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


협상이 시작되면, 예기치 못하는 스트레스가 닥쳐온다.

여기서 말하는 예기치 못하는 스트레스는, 상대방이 어떻게 행동해올지 예측은 하고 있다 할지라도, 막상 그 상황이 맞닥치면, 감정 조절이 흐트러지거나 생각 했던 것보다 상황이 달라 즉각적인 처리를 하지 못하는 경우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스트레스관리다. 부드러운 미소를 잃지 않고,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차분하게 실수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사람들은 내가 쉽게 작곡한다고 생각하지만 그건 아니라네.
단언컨대 친구여,
나만큼 작곡에 많은 시간과 생각을 바치는 사람은 없을 걸세.
유명한 작곡가의 음악치고
내가 수십 번에 걸쳐 꼼꼼하게 연구하지 않은 작품은 하나도 없으니 말이야.
-모차르트가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이숙영 저, ‘엄마, 행복해’에서 인용)


흔히들 천재는 타고난다고 합니다.
그러나 모차르트는 타고난 재능만으로 위대한 작곡가가 된 것은 아닙니다.
스물여덟 살 때 그의 손은 기형이 되었습니다.
너무 오랜 시간 연습하고, 작곡을 위해 늘 펜을 쥐고 있었기 때문이라 합니다.
‘매일 반복하는 규칙적인 작업’이 쌓여 위대함이 만들어집니다.


 
:
천재는 보통 사람과 다를 게 없다.
다만 몰입함으로써 자신에게 숨어있는 재능을 인지하는 보통 사람일 뿐이다.
몰입하고 또 몰입하면 어떤 문제도 풀리게 마련이고,
그런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자신도 모르게 천재가 되는 것이다.
-미국의 유명한 천재연구가 윈 웽거 박사와 앤더스 에릭슨 박사


우리는 누구나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우리 뇌는 후천적 노력에 의하여 얼마든지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뇌는 쉬운 문제만 접하게 되면 극히 일부만 활성화 되는 반면,
자신의 능력을 넘어선 문제를 포기하지 않고 계속 생각하면
우리 뇌는 보다 더 날카롭게 생각하려 노력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지속하면 머리가 좋아지게 됩니다.
(황농문 교수, ‘몰입, 두 번째 이야기’에서 재인용)  

 
:
위대한 작곡가는 영감이 떠오른 뒤에 작곡하는 것이 아니라,
작곡을 하면서 영감을 떠올린다.
베토벤, 바그너, 바흐, 모차르트는 경리사원이 매일 수치 계산을 하듯
매일같이 책상 앞에 앉아 작곡을 했다.
그들은 영감을 기다리며 시간을 허비하지 않았다.
(The great composer does not set to work because he is inspired,
but becomes inspired because he is working. Beethoven, Wagner, Bach and
Mozart settled down day after day to the job in hand with as much regularity
as an accountant settles down each day to his figures.
They didn't waste time waiting for inspiration.)
-어니스트 뉴먼(Ernest Newman)



자고 일어났더니 하루아침에 유명해졌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성공은 99%의 노력과 1%의 영감으로 이뤄집니다.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습니다.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의 별명입니다.
꾸준한 노력이 보통 사람을 천재로 만들고, 또 승리자로 만듭니다.

One cannot become famous overnight.
Success is made from 99% effort and 1% inspiration.
A genius cannot beat someone who works hard.
“Genius” is the nickname for those who put in the effort.
Consistent hard work can turn a normal person into a genius and
a successful person. 


 
: